① 개요
- 대학인문역량강화(CORE) 사업의 대학자체모델에서 설정한 연구소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연합/연계전공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업지원
② 내용
-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의 4개의 전공(동아시아비교인문학, 고전문헌학, 인문데이터과학, 정치경제철학)에 참여하고 있는 학과와 관련된 연구소를 중심으로 이 전공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모델 모색
- 연합/연계전공과 관련된 연구소의 운영/활동 지원(해외학자초청강연, 학술대회, 집담회 등)
- 연합/연계전공과 관련한 연구소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활동에 사용할 수 있으나 기자재, 비품, 시설비, 전임(교내)교수를 위한 수당 등으로는 개발비를 사용할 수 없음
- 연합 · 연계전공 연구 프로그램 개발 지원비로 10곳의 연구소를 선정하여 각 800만원씩 총 8000만원 지원 예정
- 집담회나,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비전임교원이나 대학원생을 위한 일정한 금액의 수당은 편성가능
- 개발비는 반드시 카드나 계좌입금(자문료 등) 등을 원칙으로 하며 관련된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결과보고시 정산서를 첨부해야 함
- 이 개발에 참여하는 연구소는 연합/연계전공을 위한 교수법이나 인문학 각 학문별 교수법 워크숍을 2016년 12월 31일까지 반드시 2회 이상 개최하여 새로운 학문 분야 및 각 분야에 적합한 교육 모델을 모색해야 함
- 2016학년도는 9월 1일에 시작하여 2017년 1월 15일까지 개발을 완료하여야 함
<연합 · 연계전공 교육/연구 프로그램 개발 지원 선정 연구소>
연 구 소
|
연구소장
|
연합/연계전공명
|
개발프로그램 내용
|
개발 기간
|
인지과학연구소
|
김청택
|
연계전공
인문데이터과학
|
인문학 학생을 위한 양적 자료의 분석에 대한 효율적 교육 프로그램.
|
2016.09.01.~2017.01.15
|
철학사상연구소
|
정호근
|
연계전공
정치경제철학
|
정치경제철학 연계전공을 위한 철학 분야 수업 연구 및 모형 개발.
|
2016.09.01.~2017.01.15
|
문화유산연구소
|
김종일
|
연계전공
인문데이터과학
|
고고 및 미술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방안.
|
2016.09.01.~2017.01.15
|
한국어문학연구소
|
이종묵
|
연계전공
고전문헌학
|
고전문헌학 연계전공 운영을 위한 한국어문학 교수법.
|
2016.09.01.~2017.01.15
|
영문화권연구소
|
봉준수
|
연계전공
고전문헌학
|
영어영문학과 고전문헌학의 접점을 형성하는
역사·이론적 차원 검토 및 실제적 적용.
|
2016.09.01.~2017.01.15
|
역사연구소
|
주경철
|
연합전공
동아시아비교인문학
|
동아시아비교인문학 연합전공을 위한 수업 연구 및 모형개발
|
2016.09.01.~2017.01.15
|
독일어문화권연구소 |
홍진호 |
연계전공
고전문헌학
|
독일 중세-바로크 문학 교육방법론 연구 |
2016.09.01.~2017.01.15 |
서양고전학연구소 |
배철현 |
연계전공
고전문헌학
|
고전문헌학 연계전공 그리스, 라틴 트랙을 위한 수업 연구 및 모형 개발 |
2016.09.01.~2017.01.15 |
예술문화연구소 |
신혜경 |
연계전공
인문데이터과학
|
연극 공연 평점의 산출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|
2016.09.01.~2017.01.15 |
불어문화권연구소
|
김정희
|
연계전공
정치경제철학
|
문화강좌 교수법 연구
|
2016.09.01.~2017.01.15
|